12. 프로젝트를 관리해 보자 (Version, Tag, Issue, Milestone, Pull request)
태그를 이용하여 프로젝트의 작업에 버전도 부여해 보고 이슈와 마일스톤을 이용하여 프로젝트를 관리해 보자.
태그를 이용하여 프로젝트의 작업에 버전도 부여해 보고 이슈와 마일스톤을 이용하여 프로젝트를 관리해 보자.
Git 저장소에서 작업을 하다 보면 지금까지 한 작업을 취소하고 다시 시작해야 할 경우가 있다. 이런 경우에 필요한 복귀 명령어를 알아보자.
버전 관리의 꽃이라 해도 과언이 아닐 파트이다. 서로 다른 브랜치의 이력을 합쳐도 보고 한쪽 브랜치로 이동도 시켜보고 도중에 충돌이 발생했을 때 조치하는 방법까지 알아보자.
작업 영역의 변경 사항을 스택에 임시 저장하고 다시 불러와 보자. 그리고 작업 영역을 깔끔하게 정리 해보자.
Git의 branch가 무엇인지 알아보자. 그리고 branch를 관리하는 명령어들이 무엇이 있는지 알아보고 branch 간 이동하며 작업을 해보자.
Github에 접속하여 원격 저장소를 생성해 보자. 기록해 둔 commit을 원격 저장소로 전송하고 다시 로컬 저장소에 내려받아 보자.
포도 없는 포도송이는 의미가 없듯이 Commit 없는 Git 또한 의미가 없다. Git의 핵심 요소인 Commit이란 무엇인지 알아보자.
생성한 Git 저장소에서 간단한 작업을 해보자. 그리고 그 파일을 추적하고 상태도 확인해 보자.
Git 저장소를 생성하고 버전관리 동작 원리를 알아보자.